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경매 2탄, 경매의 흐름

by 정나눔이 2022. 3. 1.

행크애듀에서 경매 초급반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경매의 흐름과 경매 시 기본 자료를 살펴볼 수

있는 사이트 이용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법원 경매정보 사이트의 자료를 기본으로 유료정보 사이트에서 더

자세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매 흐름

① 물건 검색: 대법원경매정보 사이트 or 기타 유료사이트 검색 후 서류 검토와 현장조사 (마음에 드는 물건이

  있다면)

② 입찰 : 입찰기일에 해당 법원 경매계에 가서 입찰

③ 낙찰 : 원하는 물건이 낙찰

④ 잔금납부(낙찰 후 1달쯤) : 낙찰 물건값에서 처음 낸 보증금을 뺀 잔금 지급

⑤ 명도 : 현재사람을 살고 있는 내보내는 과정

⑥ 임대 or 매도 낙찰 물건에 대해 인테리어 후 임대하거나 즉시 매도하는 수익 실현 단계

 * 경매가 안전한가? 안전하다! 대부분의 경매는 95%이상 문제가 없이 낙찰받으면 모든 부채가 소멸되어 등기부

   등본에서 지워진다.

 

경매에서 체크해야할 서류 4가지

경매 기본 자료는 대법원 경매정보 사이트에서 검색 or 유료사이트(탱크 옥션, 지지옥션, 굿옥션)에서 검색 가능

대법원 경매정보 사이트의 정보를 기준으로 유료사이트에서 활용하는 방식

체크해야 할 서류 4가지

① 매각물건명세서 : 해당 부동산의 권리상의 하자나 낙찰 후 추가로 인수되는 사항을 확인 가능

② 현황조사서 : 경매개시 결정을 한 뒤에 바로 집행관에게 부동산의 현상, 점유관계, 차임 또는 보증금의 액수,

                     그 밖의 현황에 관하여 조사한 보고서

③ 감정평가서 : 감정평가사가 경매 부동산에 대한 평가액을 참작하여 최저 매각 가격을 정함(주변 비슷한 물건

                     시세 등)

④ 이해관계인 서류 : 낙찰 후 볼 수 있는 서류(임대차계약서, 권리신고서, 사업자등록증, 초본, 유치권 신고 등)

 

  * 대법원경매정보 사이트 및 유료사이트 검색 팁!

  • 주소 위주로 검색한다, 우리 집 주변의 물건으로 검색 시작
  • 각 사이트별로 물건 검색 조회수는 의미가 없다, 사이트별로 회원수에 따라 조회수가 다르기 때문
  • 감정평가서에서 건물과 토지의 감정 가격이 따로 되어있는지 확인
  • 감정평가서에서 감정한 조사기간을 확인, 현재 시세와 조사 당시의 시세와 비교 필요
  • 유료사이트에서는 권리분석 및 현황분석에 대한 내용이 더 자세함(건물등기부등본 제반 서류 제공)

딱! 한 번 경매에 참여해 본적이 있었습니다. 나름, 권리분석을 다 하고 문제없는 물건이라 참여했었는데, 물론

패찰이었습니다. 2년 전이라 부동산 상승기여서 감정평가 가격보다 더 비싼 가격에 낙찰되었습니다. 감정평가서

에서 조사기간을 확인해야 한다는 말을 직접 실감했던 입찰이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권리분석과 등기부등본

및 말소기준 권리를 찾아내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