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리뷰

부자의 지도 다시 쓰는 택리지 -김학렬-

by 정나눔이 2022. 2. 6.

오늘은 '부자의 지도 다시 쓰는 택리지'를 읽고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부동산 공부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김학렬(닉네임 빠숑)씨를 아실 겁니다. 부동산 관련 많은 강의와 책도 여러 권 쓰셨고, 많은 지식과 정보를 나누어 주시는 인사이트 가득한 분이십니다. 부동산에 관심이 생기고 공부를 하면서 읽어봐야 할 도서라는 추천 글에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항상 시간은 부족하고 책은 읽고 싶어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이 책의 내용 중 일부분을 글로 남겨 드리고자 합니다.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부동산은 첫째도 입지, 둘째도 입지, 셋째도 입지라는 말을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이처럼, 부동산에 있어 입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서울과 수도권을 분석하여 부자로 만들어 줄 입지를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1. 한강 조망권을 주목합니다. 

 . 주택의 양적 수요가 충족되면 질적 수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교통, 교육, 편의시설이 다 갖추어지고 나면 사람들은 자연환경을 중요시하게 됩니다. 서울의 최고의 자연환경은 남산과 한강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한강 조망권이 갖추어진 주택을 원합니다. 한강 조망권이 가능한 지역은 서초구 중 반포동과 잠원동 뿐입니다.

2. 핵심지에 터널이 뚫리는 지역을 주목합니다.

 . 방배동에 장재터널이 개통되면 그 터널 하나로 입지가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강남구의 핵심인 테헤란로와 직접 연결되는 곳이 터널이 뚫리게 되면서 방배동이 시작점이 되니 앞으로 지켜볼만한 곳입니다.

3. 전철역 종점들을 주목합니다.

 . 모든 지하철 노선에는 종점과 기점이 있습니다. 부동산에서는 종점은 같은 역세권임에도 불구하고 낮은 시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하철 노선이 연장되어 종점이었던 곳이 중간역이 되면 그 지역이 발전되어 시세가 좋아질 것입니다.

4. 이케아 입점 예정지를 주목합니다.

 . 광명시에 이케아 1호점이 오픈하자마자 돌풍을 일으키여 연일 사람들이 몰리게 되어 인근 공부는 이케아 전용 주차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2호점은 고양시 덕양구 원흥지구에 생깁니다. 3호점은 강동구 고덕동에 입점하게 됩니다. 이처럼 이케아 입점지역은 향후 사람들이 많이 몰려들 것이기 때문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합니다.

5. 섬 개발의 성공 여부는 다리의 건설과 관계가 있으며 다리의 건설로 부동산의 가치 상승도 가능합니다.

 . 섬은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개발이 어렵다고 합니다. 좋은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어도 개발에 한계가 있어 부동산 시세가 저렴합니다. 섬 지역의 개발 가능성은 다리가 연결되기 때문에 영종도의 개발, 강화도의 발전, 거제도가 부산만큼 시세가 급등한 것도 모두 다리와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6. 고가도로 철거지역을 주목합니다.

 . 최근 서울 도심은 대부분의 고가도로를 철거하거나 철거 계획 중에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청계 고가도로입니다. 고가도로를 철거하면 가시성이 좋아지고, 단절되어 있던 지역이 연결되며 상권이 활성화돼 때문에 호재라고 생각됩니다. 미아삼거리도 고가도로 철거 후 미아사거리가 되면서 지역 상권이 좋아진 예라고 합니다. 앞으로 철거 예정 지역들을 꼼꼼하게 살펴서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7. 왕릉 주변 입지를 주목합니다.

 . 서울 왕릉 중 유명한 곳은 삼성동의 선정릉입니다. 이러한 왕릉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유네스코에서 보호하기 때문에 계속 유지될 수밖에 없습니다. 앞으로 주거지는 환경 쾌적성이 강조될 것이기에, 주변에 좋은 공기와 시작적 청명함을 선사하는 왕릉은 과거보다 더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8. 지하철 개통 시기를 주목합니다.

 . 특정 지역의 활성화는 지하철 개통과 맞물려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노원구는 상계주공 아파트의 개발로 활성화되기 시작했습니다. 1985년 상계 택지개발지에 4호선이 들어왔고, 1996년 7호선이 개통되면서 중계동, 하계동에도 전철이 지나게 되면서 노원구의 주도권이 중계동, 하계동으로 넘어오게 된 것입니다. 이처럼 새로운 노선들이 확장되면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눈여겨봐야 합니다.

9. 한강 다리의 역사를 공부합니다.

 . 한강 다리의 역사를 살피면, 다리로 연결된 지역의 부동산이 많은 발전을 했다고 합니다. 그 예로 일산대교가 개통한 2008년에는 김포한강신도시 입주 상태였고, 2002년 개통된 가양대교를 보면 상암동이 개발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강 다리의 역사를 지역 변화와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에 담은 여러 지역의 정보가 너무나 다양합니다. 그중에서 꼭 수도권만이 아닌 지방에서도 필요한 내용일 듯한 내용을 적어봤습니다. 부동산의 생명은 입지인데, 입지에 대한 공부를 더 해야 할 듯합니다. 부자의 지도 다시 쓰는 택리지를 통해 입지를 더욱 중요시하게 되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