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나눔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관련 책을 읽고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고
유튜브를 보던 중 발견한 유튜브 채널입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엄청 유명한 분이시더라고요. 저는 이 분과는
전혀 관계없으며 단순히 부동산 관련 지식 검색 중에 찾은 채널인데 여러 면에서 좋은 내용을 많이 알려주시는
분이라는 생각에 구독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부동산 비법서'라는 책을 쓰시고 구독자들에게만 판매했습니다.
많은 내용이 있지만, 그 중에서 제가 주의 깊게 본 내용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인구 증가와 전세가율 같이 확인하기
전세가율을 통해서 주택의 매수심리가 강한가 약한가를 알 수 있습니다. 전세가율이 70%가 넘으면 매수심리가
큰 지역이고 전세가율이 50% 아래로 떨어지면 경계해야 할 지역입니다. 인구가 증가하는 지역의 전세가율이
높아진다면 실수요자들이 몰리는 지역으로 잠재적인 주택 매수 수요이기 때문에 매수해도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 전세가율이 의미가 없어지는 시기가 있습니다. 전세자금 대출이 DSR로 인해서 막혀서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전세가율이 의미가 없어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유효하다고 합니다.
부동산 관련 책을 읽으면서 전세가율을 살펴보라는 내용은 여러 번 보았습니다. 전세가율이 높아지면 가격 상승이
오고 전세가율이 낮아지면 가격 하락이 올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추가로 인구 증가와 전세
자금 대출을 확인하며 주택 매수 및 가격 상승을 예측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파트 구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아파트 구입시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재테크 읽어주는 파일럿님의 이야기를 정리해봤습니다.
- 대지지분 확인: 보통 33평 정도 아파트라면 10~15평 대지지분을 가지므로 10평 미만이라면 고심해야 합니다.
- 재건축을 생각하려면 용적률 250% 넘어가면 안 됩니다. [검색 사이트 접속→아파트명 검색→단지정보 확인]
- 뷰 값을 더 주고 아파트를 사지 마세요. 아무리 좋은 뷰라도 추후에 내가 더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합니다.
- 전월세 비중이 낮은 아파트가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통 30~40%내외인데 인기있는 아파트는 전체 세대 물량 중 10%내외로 전월세로 살러왔다가 마음에 들어 실거주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여겨집니다.
- 아파트 브랜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아파트 구분하는 기준은 브랜드가 아니라 아파트 연식으로 구분합니다.
- 학세권, 역세권보다 숲세권 지역으로 아파트를 구입해야 하며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구입 시 고려 사항
부동산 상승, 하락, 조정 시기는 늘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 안에서 좋은 기회에 부동산을 구입해야 합니다.
- 일자리와 인구가 증가하는 지역으로 부동산을 구입해야 합니다.
- 서울에서 반경 30km 이내에 있는 지역이어야 합니다.
- 5대 광역시가 근처에 있다면 그 지역으로 가야 합니다.
- 꼭 지방이라면, 충남 천안시 서북구, 강원 원주시, 충북 청주시 흥덕구가 인구 증가가 기대되는 지역입니다.
- 지방은 일자리가 많은 지역으로 가야 합니다. 경기도는 평택/이천, 강원도는 원주/춘천, 충청도는 충주/아산/
천안/경북은 구미/포항, 경남은 김해/양산입니다.
- GTX, 서울시 지하철 지하화, 1기 신도시 재건축, 강북 재개발, 서울 지천르네상스, 경남 부울경 메가시티,
경남 서부권 남부내륙철도 노선, 경기북부 교외선 등 각 지역의 교통 및 개발 호재에 관심을 가집니다.
부동산에 대한 다년간의 노하우를 적어 놓은 책입니다. 재테크 읽어주는 파일럿님의 중점 사항은 바로 '서울'
입니다. 서울이 안된다면 수도권이라도, 안된다면, 5대광역시로 가야합니다. 인구 감소는 빠르게 진행되고 모든
사람이 인프라 갖춰지고 일자리가 있는 곳으로 모이기 때문에 메가시티화될 것이라고 합니다. 부동산 비법서를
읽으며 제5차 국토종합계획을 공부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다음 편도 기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북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기병 by 윤지회 (0) | 2022.04.18 |
---|---|
웰씽킹 by 켈리 최 (0) | 2022.03.09 |
책으로 시작하는 부동산 공부 by 레비앙 (0) | 2022.02.22 |
부동산 투자 흐름이 답이다. by 김수현 (0) | 2022.02.16 |
부동산 경매 처음공부 by 설춘환 (0) | 2022.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