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청년 도약 계좌와 청년 희망 적금

by 정나눔이 2022. 3. 13.

안녕하세요! 정나눔입니다. 오늘은 '1억 만들기 통장'으로 불리는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들

에게 자산 형성의 기회를 주고 청년이 도약할 수 있게 도와주겠다는 윤석렬 당선인의 청년 금융지원 정책입니다.

기존의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하면서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정책이니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는 무엇인가?

청년 도약 계좌는 만 19세~만 34세라면 누구나 가입 가능한 상품입니다.

근로·사업 소득이 있는 19-34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가입자들이 매월 70만 원 한도 안에서 일정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가입자 소득에 따라 월 10~40만 원씩 지원해, 10년 만기 시 1억 원을 만들어주는 정책금융상품입니다.

청년 도약 계좌 주요 내용

  • 근로/사업 소득 있는 만 19세~만 34세 청년 누구나 대상
  • 10년 만기 1억 원 마련
  • 가입자는 월 70만 원 한도 내 저축
  • 정부는 가입자 소득에 따라 월 10~40만 원 저축 지원
  • 연간 총 급여 상한 기준 없음
  • 연봉 4,800만 원 이상은 비과세/소득공제 혜택

  * 청년 도약 계좌 적립 금액 예시 표 [총 1억 원 월 70만 원씩 연 3.5% 복리]

연소득 최대 월 납입액 정부지원금 월 합산 금액
2,400만원 이하 30만원 최대 40만원 총 70만원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 50만원 최대 20만원
3,600만원 초과 60만원 최대 10만원
4,800만원 초과 70만원 지원금 없음/비과세 소득공제 혜택

  - 월급이 올라갈수록 정부지원금은 줄어듭니다.

  - 연봉 4,800만 원 초과자는 정부지원금은 없지만 세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 가입 기간 중 소득이 향상되면 자동으로 다른 구간으로 혜택이 넘어간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사진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출처:매일경제)

 

[청년도약계좌 만 19세~만34세 청년 누구나 vs 청년희망적금 연소득 3,600만원 이하인 만 19세~만 34세 청년]

* 청년희망적금은 연소득 3,600만원이하라는 조건이 있는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대상에 대한 제한이 없어 더 많은

   가입이 예상됩니다. 때문에,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 도약 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법도 고려중이라고

    합니다. 향후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이 발표되면 또 알려 드리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정부의 수요 예측이 잘못되어 은행 이자 부담이 1조 원이 늘었고, 정부의 책정 예산이 적어 가입

대상이 되어도 가입하지 못한 청년이 많습니다. 때문에, 청년 도약 계좌는 지원 범위가 훨씬 넓어서 더 정확한 수요

예측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정부가 10년 만기라는 기간 동안 지속적인 지원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세제

부담이 불안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 4,800만 원 초과 청년의 경우에는 지원금이 없으므로 10년의 기간을

고려해 다른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