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나눔입니다. 오늘은 '1억 만들기 통장'으로 불리는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들
에게 자산 형성의 기회를 주고 청년이 도약할 수 있게 도와주겠다는 윤석렬 당선인의 청년 금융지원 정책입니다.
기존의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하면서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정책이니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는 무엇인가?
청년 도약 계좌는 만 19세~만 34세라면 누구나 가입 가능한 상품입니다.
청년 도약 계좌 주요 내용
- 근로/사업 소득 있는 만 19세~만 34세 청년 누구나 대상
- 10년 만기 1억 원 마련
- 가입자는 월 70만 원 한도 내 저축
- 정부는 가입자 소득에 따라 월 10~40만 원 저축 지원
- 연간 총 급여 상한 기준 없음
- 연봉 4,800만 원 이상은 비과세/소득공제 혜택
* 청년 도약 계좌 적립 금액 예시 표 [총 1억 원 월 70만 원씩 연 3.5% 복리]
연소득 | 최대 월 납입액 | 정부지원금 | 월 합산 금액 |
2,400만원 이하 | 30만원 | 최대 40만원 | 총 70만원 |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최대 20만원 | |
3,600만원 초과 | 60만원 | 최대 10만원 | |
4,800만원 초과 | 70만원 | 지원금 없음/비과세 소득공제 혜택 |
- 월급이 올라갈수록 정부지원금은 줄어듭니다.
- 연봉 4,800만 원 초과자는 정부지원금은 없지만 세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 가입 기간 중 소득이 향상되면 자동으로 다른 구간으로 혜택이 넘어간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 만 19세~만34세 청년 누구나 vs 청년희망적금 연소득 3,600만원 이하인 만 19세~만 34세 청년]
* 청년희망적금은 연소득 3,600만원이하라는 조건이 있는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대상에 대한 제한이 없어 더 많은
가입이 예상됩니다. 때문에,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 도약 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법도 고려중이라고
합니다. 향후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이 발표되면 또 알려 드리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정부의 수요 예측이 잘못되어 은행 이자 부담이 1조 원이 늘었고, 정부의 책정 예산이 적어 가입
대상이 되어도 가입하지 못한 청년이 많습니다. 때문에, 청년 도약 계좌는 지원 범위가 훨씬 넓어서 더 정확한 수요
예측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정부가 10년 만기라는 기간 동안 지속적인 지원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세제
부담이 불안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 4,800만 원 초과 청년의 경우에는 지원금이 없으므로 10년의 기간을
고려해 다른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16일 달라지는 코로나 생활지원금 (0) | 2022.03.16 |
---|---|
차가버섯 효능 및 분말가루 복용법 (0) | 2022.03.14 |
고지혈증과 중성지방수치 낮추는 법 (0) | 2022.03.10 |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로 코로나19 확진 인정 (0) | 2022.03.08 |
싸이월드 정식 오픈 (0) | 2022.03.07 |
댓글